728x90
스테이킹
개념
- 스테이킹은 블록체인의 지분증명(Proof of Stake, PoS) 또는 변형된 합의 알고리즘에서 작동합니다.
- 사용자가 특정 암호화폐를 지갑이나 거래소에 예치(stake)하면, 네트워크의 안정성과 운영에 기여한 대가로 보상을 받습니다.
작동방식
- 예치: 사용자는 암호화폐를 스테이킹 플랫폼(거래소 또는 네트워크)으로 예치합니다.
- 검증: 스테이킹된 자산은 네트워크의 트랜잭션 검증 및 블록 생성에 사용됩니다.
- 보상: 검증 작업에 대한 대가로 사용자는 네이티브 코인으로 보상을 받습니다.
특징
- 수익률: 스테이킹 수익률(APY)은 네트워크 정책, 스테이킹 금액, 참여자 수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.
- 잠금 기간: 일부 스테이킹은 자산이 일정 기간 잠기며, 인출이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.
- 위험: 네트워크 보안 문제(예치된 스테이킹 자산 도난), 잠금기간동안 가격 변동 등 리스크가 존재합니다.
랜딩
개념
- 랜딩은 암호화폐를 다른 사용자(혹은 플랫폼)에 대출하여 이자를 받는 금융 서비스입니다.
- 코인 거래소 또는 DeFi(탈중앙 금융) 플랫폼에서 랜딩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
작동 방식
- 예치: 사용자가 암호화폐를 거래소나 플랫폼에 예치합니다.
- 대출: 예치된 자산은 차입자에게 대출됩니다.
- 이자 수익: 차입자가 지급하는 이자로 예치자는 수익을 얻습니다.
특징
- 유동성: 스테이킹과 달리, 랜딩은 자산이 보통 잠기지 않으며 유동적으로 인출 가능.
- 수익률: 대출 금리에 따라 이자 수익이 결정됩니다.
- 리스크: 플랫폼의 신뢰성, 차입자의 상환 능력, 담보 자산 가치 변동 등 위험이 있습니다.
항목 | 스테이킹 | 랜딩 |
기본개념 | 네트워크 검증 참여로 보상 획득 | 암호화폐 대출로 이자 수익 획득 |
수익방식 | 블록 보상, 네트워크 수수료 | 차입자의 이자 지급 |
유동성 | 잠금 기간이 있을 수 있음 | 보통 유동성이 높음 |
위험요소 | 네트워크 리스크, 가격 변동 | 플랫폼 리스크, 차입자 상환 리스크 |
수익률 | 네트워크 참여율에 따라 달라짐 | 대출 금리에 따라 달라짐 |
랜딩을 알아보면서 거래소에 예금하는 개념이라는 생각이 들어 차이점을 찾아봤습니다.
항목 | 코인랜딩 | 은행예금 |
수익률 | 높음(변동성 있음) | 낮음(안정적) |
위험도 | 높음(해킹, 시장 변동, 플랫폼 리스크) | 낮음(국가 보장) |
유동성 | 플랫폼에 따라 다름 | 상품에 따라 다름(보통/정기 예금) |
법적보호 | 없음 | 예금 보험 제도로 보호 |
운영방식 | 거래소 또는 DeFi 플랫폼 | 은행 |
수수료 | 플랫폼별 수수료 발생 가능 | 없음 |
728x90
'경제이야기 > 코인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비트코인 2025년 전망 정리 (5) | 2024.12.24 |
---|---|
비트코인 전략자산 추진현황 (6) | 2024.12.15 |